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좋은 생활정보

신생아 시력발달과 색깔구분시기, 신생아 때 눈물이 나지 않는 이유

by 슬기로운찌니 2023. 7. 19.
728x90
반응형

우리의 눈은 무려 1만 7천 가지의 색을 구분하고 1km 떨어진 거리에서 촛불의 1천 분의 1밖에 안되는 작은 빛까지도 감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에 바로 태어난 신생아의 눈은 성인처럼 사물을 뚜렷하게 구분하거나 색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낮아 대게 생후 2개월까지는 사물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성인 수준의 1.0의 시력을 갖기 위해서는 만 6세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에 신생아의 시력발달시기와 색깔을 구분하는시기에 그리고 신생아 때 눈물이 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신생아시력에대해서

신생아 시력발달

일반적으로 태어난 직후 아기들은 모든 사물이 흐릿하거나 색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는 눈의 신경 근육이 굉장히 미숙해서입니다. 눈은 미세한 신경 근육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막 태어난 아기는 한 곳에 초점을 응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눈의 근육인 동공이 조였다 풀었다 하는 기능조차 어렵습니다. 이 시기에는 주로 빛과 어두운 대비가 되는 정도로 눈치채기 쉽습니다. 1개월이 지난 아기들은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조금 더 발달합니다. 이때는 부모나 보호자의 얼굴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2~3개월에서는 시력이 더욱 발달하여 색상을 더 선명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움직이는 물체에 관심을 보이고 부드러운 색상과 높은 대비를 가진 물체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6 ~ 12개월에는 신생아의 시력이 더욱 발달하여 세부적인 색을 더 잘 인식하게 되며 이에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물체를 장거리에서도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2세 이후에는 시력이 계속해서 발달하여 아이들은 더욱 선명하게 보고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때는 눈의 움직임과 협응 능력이 향상되고 시력 검사가 가능한 수준이 됩니다. 다만 생후 3개월 이전까지의 아기들은 시선을 빠르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물체나 장난감을 심하게 흔드는 것은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순한 모양과 선명한 색깔을 보여주고 점차 다양한 모양과 컬러를 보여주는 것이 시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신생아 색깔 구분 시기

신생아 색깔 구분시기는 생후 2일 정도 지나면 동공반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동공반사란 주위 빛에 밝기에 따라서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반응으로 이는 카메라 조리개와 같이 밝고 어두움을 조절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검은 눈동자가 큽니다. 따라서 어디를 보는 건지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신생아의 경우 볼 수 있는 거리는 20~30cm로 이는 모유 수유할 때의 거리 정도입니다. 생후 2주 정도면 빛의 밝기와 명암을 구분하게 되어 흑백  구분이 가능한 시기로 흑백 모빌이나 초점책을 통해 시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생후 2개월에는 삼원색인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 구분이 가능해집니다. 3개월에는 노란색과 빨간색 구분을 할 수 있게 되며 푸른색과 초록색 구분도 가능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눈이 사시처럼 가운데로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자연스럽게 없어집니다. 다만 계속해서 사시가 심해진다면 전문의에게 진료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생후 4~5개월에는 시력이 안정을 찾아가는 시기로 붉은 계열의 색 구분이 가능해지지만 아직까지는 먼 곳에 물체를 불수 없으므로 장난감이나 물체를 가까이 보여주어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생후 6개월에는 색깔 구분이 완전해지는 시기이며 양쪽 눈으로 사물을 보기 시작합니다. 다만 성인수준의 1.0시력을 갖기 위해서는 만 6세가 되어야 합니다.

신생아 때 눈물이 나지 않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종종 신생아가 울 때 눈물이 나지 않아 거짓 울음이라고 장난을 칠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을 보호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는 눈물샘이 덜 발달하여서 눈물이 나지 않는 이유입니다. 눈물관이 막혀 있는 데다가 눈동자의 습도를 유지할 정도의 수분만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눈물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신생아는 일시적으로 눈이 건조해 보일 수 있지만 대게 생후 6개월이 지나면 눈물관이 열리고 눈물샘이 발달하여 정상적으로 눈물이 흐르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