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궁금한 정보

삼복의 의미와 유래, 복날 삼계탕을 먹는 이유에 대해서

by 슬기로운찌니 2023. 7. 11.
728x90
반응형

삼복(三伏)은 초복, 중복, 말복을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이는 일 년 중 특별히 가장 더운 시기를 가리키는 전통 풍속 중 하나입니다. 복날은 10일 간격이며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립니다. 복날에 쓰이는 '복'은 '엎드릴 복(伏)'한자로  이는 사람 인(人)과 개 견(犬)이 합쳐진 한자로 무더위로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는 바를 의미합니다.

 

삼복의 의미

삼복 중 초복은 한국에서 기후적인 관점에서 여름에 돌입하는 시기로 삼복 가운데 첫 번째로 '처음', '첫째'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력 상으로 초복은 절기상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을 말합니다. 대략 7월 11일부터 7월 19일 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복은 초복이 지난 10일 후이며 이때는 초복을 지나 더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로 무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보양식을 먹는 것이 관례였다고 합니다. 또한 국가에서는 기우제를 지내거나 농가에서는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말복은 중복 다음으로 10일 혹은 20일 후에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말복은 1년 중 무더위가 끝나갈 무렵으로 제법 선선한 기운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삼복의 유래

3개의 복날인 초복, 중복, 말복을 지키는 풍습의 시작은 중국 춘추시대의 진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진나라 덕공 2년에 처음으로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제사를 지낸 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부터 음력 6월부터 7월 사이 세번 여름 제사를 지내고 신하들에게 고기를 나눠준대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우리 선조들은 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복날이면 삼계탕을 먹거나 시원한 과일인 수박을 나눠 먹는 풍습도 있었다고 합니다. 

 

 

복날에 삼계탕을 먹는 이유

복날삼계탕먹는이유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무더운 여름 열을 식히고 체력을 보충을 위해 열(熱)을 열(熱)로 다스리는 이열치열의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배탈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따뜻한 음식으로 위장 내부를 보호해 주었던 것으로 이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여름철 높은 기온으로 우리 몸은 땀을 배출해 열을 내보내고 체온을 유지합니다. 이때 수분, 무기질 등이 함께 빠져나가 피로감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삼계탕의 재료인 닭은 단백질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원기를 보충해 주는 대표적인 보양식입니다. 삼계탕은 닭고기와 약재, 야채 등 함께 끓여서 만든 영양가 있는 음식으로 단백질과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체력을 보충하고 몸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뜨거운 국물과 열을 내는 식재료를 포함하고 있어 동시에 땀을 내는 효과와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특히 삼계탕에 들어가는 인삼에는 사포닌 성분은 면역력을 높이고 마늘의 알리신은 세균을 죽이는 항균효과가 뛰어나며 비타민 B1의 흡수를 도와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무더운 여름 복날에는 대표적으로 삼계탕을 먹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계탕 외에도 복날에 먹기 좋은 보양식에는 고단백 식품인 추어탕, 미네랄과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오리구이나 오리탕, 아미노산과 비타민, 칼슘이 풍부하고 여름철 가장 맛있는 생선인  민어, 타우린 성분과 비타민A, 비타민 B2가 풍부한 장어, 식물성 단백질로 단백질 보충에 도움이 되는 콩국수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